콘텐츠로 건너뛰기

전월세신고제 대상 및 과태료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월세신고제가 2025년 6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됩니다.

     

    신고방법 바로가기

     

    전월세신고제, 어떤 제도인가요?

    전월세 신고제는 주택 임대차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에 임대인 또는 임차인이 계약 내용을 지자체에 신고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전월세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전세사기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신고대상

    신고 지역

    • 수도권(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 도의 시 지역(군 지역 제외)
    •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계약 조건

    • 보증금 6,000만원 초과
    • 월세 30만원 초과

     

    대상 주택

    주거용 건물(단독·다가구 주택, 아파트, 연립·다세대 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 등)

    중요 포인트

    • 임대료 변경 없이 묵시적으로 갱신된 계약은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 임대료가 변경된 갱신 계약은 신고해야 합니다.
    • 계약서를 제출하면 임대인이나 임차인 한 명만 신고해도 공동 신고로 인정됩니다.
    • 확정일자를 이미 받은 경우, 별도로 전월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과태료

    • 과태료 금액: 2만원 ~ 30만원
      예: 보증금 5억원 이상 계약을 2년 이상 신고하지 않으면 최대 30만원의 과태료.

    • 거짓 신고: 최대 100만원 과태료

    계약 금액

    미신고 기간

    과태료

    6,000만원 초과 ~ 1억원 이하

    1년 미만

    2만원 ~ 5만원

    1억원 초과 ~ 3억원 이하

    1년 이상 ~ 2년 미만

    5만원 ~ 15만원

    3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2년 이상

    15만원 ~ 25만원

    5억원 초과

    2년 이상

    30만원

     

    신고방법 바로가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