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계보 태정태세 문단세

우리나라 역사를 공부하려면 꼭 외어야하는 조선왕조 계보

이번글에서 조선왕조 계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선왕조 계보

 

조선왕조 계보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설고순


조선 전기와 후기를 나눈는 기준은 임진왜란입니다.
임진왜란이후 조선은 극심한 혼란과 피해를 입었고 큰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임진왜란을 기준으로 조선 전기와 후기가 나뉘어 집니다.

 

 

업적과 함께 보기

1대왕 태조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

 

2대왕 정종

태조 이성계의 둘째 아들.

불교에 대한 관심

 

3대왕 태종

왕자의 난

왕권 강화

국방강화: 북방 여진족 정벌

 

4대왕 세종

훈민정음 창제

과학기술 발전

국방 강화: 4군 6진

 

5대왕 문종

세종의 맏아들

재위기간 2년

 

6대왕 단종

문종의 일찍 세상을 떠나면서 어린나위에 왕위에 오름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으로 폐위

 

7대왕 세조

왕권 강화

경국대전 편찬

국방강화

 

8대왕 예종

짧은기간 재위

학문과 정치에 관심

 

 

9대왕 성종

47년간 재위

경국대전 완성

문화발전, 농업기술 발전으로 생산성 향상

 

10대왕 연산군

사창 설치: 곡식을 비축해 빈민구제에 사용

무와사화, 갑자사화

 

11대왕 중종

갑자사화로 억눌렸던 사림파 중용

 

12대왕 인종

짧은기간 재위(1년)

사림파 신뢰

 

13대왕 명종

인종의 동생

20년재위

을사사화: 어머니 문정황후의 수렴청정으로 사림파 대규모 숙청

 

14대왕 선조

임진왜란

 

15대왕 광해군

대동법 시행

명나라와 후금사이 중립외교

 

16대왕 인조

인조반정으로 왕위에오름

병자호란

 

 

17대왕 효종

북벌을 준비했으나 성과를 내지 못함

 

18대왕 현종

예송논쟁: 왕실의 상복기간을 가지고 서인과 남인의 대립한 사건

 

19대왕 숙종

상평통보 발행

환국정치: 서인과 남인을 번갈아 등용하여 왕권 강화

 

20대왕 경종

짧은 재위기간

신임사화: 노론vs소론

 

21대왕 영조

52년의 재위기간

탕평정치: 노론과 소론 대립완화

균역법

 

22대왕 정조

장용영 설립: 국왕의 친위부대

규장각설립: 왕실도서관

수원화성 건설

 

23대왕 순조

왕권약화: 안동김씨의 정권장악

신유박해: 천주교 박해

삼포왜란: 부산, 울산, 강릉에서 왜구의 침입발생

 

24대왕 헌종

귀주대첩: 거란의 대규모침입, 강감찬 장군

불교 진흥: 팔만대장경 제작의 기반 마련

 

25대왕 철종

세도정치: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를 개혁하려했지만 극복하지 못함

 

 

26대왕 고종

조선의 마지막왕

대한제국 건국

청일전쟁: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의 주도건 장악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설립, 과거제 폐지, 신분제 노비제 폐지

을미사변: 일본이 명성황후 시해

아관파천: 명성황후 시해사건이후 일본의 위혐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간 사건

을사늑약: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27대왕 순종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한일신협약

정미의병

1910 한일병합조약으로 대한제국 멸망 일제강점기 시작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