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전월세신고제 방법 오프라인, 온라인

    세입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정책으로 4년간의 계도 기간을 거쳐 이제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전월세신고제.

    이번글에서 전월세신고제 방법, 오프라인, 온라인에 나눠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월세신고제란?▼

    신고대상은?(나도 포함될까?)▼

    신고안하게 된다면 과태료는?▼

     

    이전글 바로가기

     

     

    1. 오프라인 신고

    주택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를 방문하면 됩니다.

    준비물: 신분증, 주택 임대차 계약서

    절차

    1. 주민센터에서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서를 작성합니다.
    2. 계약서를 제출하고, 직원이 확인 후 신고를 처리합니다.
    3. 보통 5분 이내에 완료되며, 별도의 수수료는 없습니다.

    2. 온라인 신고

    오프라인 방문이 어려운 분들은 온라인 신고도 가능합니다.

     

    온라인신고 바로가기

     

    절차

    • 사이트에 접속해 로그인합니다(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필요).
    •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 임대차 신고서 등록 메뉴를 선택합니다.
    • 계약 정보와 계약서를 업로드하면 신고 완료!

    특징: 모바일로도 접속 가능해 언제 어디서나 신고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고는 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특히 바쁜 직장인이나 멀리 사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