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극에 달하는 여름, 우리는 흔히 ‘초복·중복·말복’이라 불리는 ‘삼복(三伏)’ 기간을 맞이합니다.
이 시기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복달임’입니다.
복달임 뜻
복달임은 ‘삼복 무렵에 특별히 먹는 보양 음식이나 그 행위’를 일컫는 우리말입니다.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몸에 좋은 음식을 먹으며 건강을 챙기는 관습을 의미합니다
한자로는 ‘伏(엎드릴 복)’ 자가 사용되며, 이는 더위로 인해 사람도 짐승도 지쳐 엎드릴 수밖에 없다는 데서 유래합니다.
2025년 초복 중복 말복
초복: 2025년 7월 20일 (일요일)
중복: 2025년 7월 30일 (수요일)
말복: 2025년 8월 9일 (토요일)
복달임 음식
삼계탕
닭고기에 인삼, 대추, 마늘 등을 넣어 푹 고은 음식으로, 기력을 보충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데 좋습니다.
장어구이
장어는 예로부터 스태미나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식품으로 손꼽혀왔습니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 지쳐있는 몸의 기력을 회복하고 원기를 북돋는 데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팥죽
팥은 더위를 물리치고 몸의 열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라고 여겨졌습니다.
추어탕
미꾸라지를 이용한 탕으로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며, 땀으로 빠져나간 기운을 되찾게 해줍니다.
수박, 콩국수, 팥빙수
차갑고 시원한 음식들도 더위로 지친 입맛을 돋워주는 여름철 별미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복달임의 유래와 풍습
복달임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이어져오고 있는여름철 풍습입니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여름철에 몸속의 양기가 빠져나가기 쉬워 허해진다고 보아, 이를 보충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하다고 여겼습니다.
뜨거운 음식으로 더위를 이겨낸다는 ‘이열치열(以熱治熱)’의 지혜 또한 복달임에 깃들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