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가루 지수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꽃가루의 양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0~5등급으로 나뉘며, 수치가 높을수록 꽃가루 농도가 높아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도 커집니다.
지역별 꽃가루 지수 확인하러가기 ▼
🗓️ 꽃가루 시즌은 언제?
봄 (3~5월)
주로 수목류 꽃가루 (자작나무, 오리나무, 참나무 등)
알레르기 비염이 가장 심해지는 시기
초여름 (5~6월)
잔디류 꽃가루 발생
건조한 날씨와 겹쳐 외출 시 눈 가려움, 재채기 심해짐
가을 (8~10월)
잡초류 꽃가루 (돼지풀, 환삼덩굴 등)
여름 알레르기보다 오래 지속됨
환기방법
꽃가루가 많다고 무조건 환기를 막으면 실내 공기도 나빠질 수 있습니다. 꽃가루 날리는 시간대를 피해서 짧게, 효과적으로 환기하는 게 핵심입니다.
✅ 환기 팁
- 하루 2회, 아침 7시 이전이나 저녁 8시 이후에 짧게 환기 (10분 이내)
- 창문에 미세먼지+꽃가루 차단망 설치 추천
- 환기 후에는 바닥·침구에 쌓인 꽃가루를 물청소로 제거
- 공기청정기 사용 시 ‘황사/꽃가루 모드’ 활용
꽃가루로부터 몸을 지키는 방법
- 외출 시 마스크(KF80 이상)와 안경 착용
- 돌아오면 옷 털기 → 세수 → 머리 감기
- 빨래는 외부 건조 자제, 가급적 실내 건조
- 침구는 주 1~2회 고온세탁
- 반려동물 털에도 꽃가루가 묻을 수 있으니, 산책 후 빗질과 발 닦기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