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 부모님과 가족분들이 처음 다같이 만나는 자리라서 어색하고 불편한 분위기일수도 있는데요.
원활한 대화를 이어가기위해서는 몇가지 대화 주제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가벼운 인사
상견례의 시작은 자연스럽고 밝은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간단한 인사와 함께 가벼운 이야기로 분위기를 풀어보세요.
예시 대화
👨🦳 아버님: “오늘 날씨가 참 좋네요. 덕분에 기분 좋게 왔습니다.”
👩 어머님: “맞아요. 이렇게 좋은 날에 처음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2. 가족과 고향 이야기
서로의 가족 배경과 고향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 주제입니다.
예시 대화
👩🦰 예비 신부: “아버님, 어머님은 어디에서 나고 자라셨나요?”
👨🦳 아버님: “저희는 전라도에서 자랐습니다. 혹시 가보신 적 있으세요?”
👩🦳 어머님: “네, 예전에 여행으로 가본 적이 있어요. 음식이 정말 맛있더라고요!”
이렇게 하면 지역 특산물이나 여행 경험 등을 공유하며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직업과 취미 이야기
부모님 세대는 자녀의 배우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 부모님은 어떤 일을 하셨는지 궁금해합니다. 너무 깊이 파고들기보다는 가볍게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 대화
👨🦱 예비 신랑: “아버님은 예전에 어떤 일을 하셨나요?”
👨🦳 아버님: “저는 교육계에서 일했습니다. 가르치는 일이 참 보람되더라고요.”
👩🦰 예비 신부: “어머님은 취미 생활이 있으세요?”
👩🦳 어머님: “요즘은 요가를 배우고 있어요. 건강에도 좋고, 친구들도 많이 사귀었어요.”
이처럼 직업뿐만 아니라 취미까지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면 분위기가 부드러워집니다.
4. 자녀 자랑 & 장점 이야기
서로의 자녀를 칭찬하는 것은 좋은 인상을 주는 방법입니다. 단, 너무 과하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칭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대화
👨🦳 아버님: “우리 딸이 어릴 때부터 참 씩씩했어요. 무슨 일이든 책임감 있게 해내더라고요.”
👩🦳 어머님: “그렇군요! 우리 아들도 성실한 편이라서 둘이 잘 맞을 것 같아요.”
👩 어머님: “두 사람 다 배려심이 많아 보이네요. 앞으로 잘 지낼 것 같아요.”
이런 대화는 결혼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분위기를 만들어줍니다.
5. 결혼 준비 & 예식 이야기
결혼식과 관련된 이야기도 자연스럽게 나눌 수 있는 주제입니다. 단, 의견 차이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이니 너무 깊이 들어가기보다는 가볍게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 대화
👩🦰 예비 신부: “저희는 작은 규모의 예식을 생각하고 있는데, 부모님 생각은 어떠세요?”
👨🦳 아버님: “요즘은 스몰웨딩도 많이 하더라고요. 가장 중요한 건 두 사람이 원하는 방식이겠죠.”
👩🦳 어머님: “한복도 입을 예정인가요? 저는 전통 예식도 참 좋다고 생각해요.”
이처럼 결혼식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되,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앞으로의 가족 관계
결혼 후 가족 간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미리 나누면 더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시 대화
👨🦳 아버님: “결혼 후에도 종종 부모님과 식사하면 좋겠죠?”
👩🦰 예비 신부: “네! 저도 부모님을 자주 찾아뵙고 싶어요.”
👩🦳 어머님: “그래요. 서로 왕래하면서 가족처럼 지내면 좋겠어요.”
이런 대화는 앞으로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다지는 데 도움이 됩니다.
TIP
이야기를 하다가 자신과 비슷한 가치관, 성격, 경험이 나올 때 공감해주면 더 빠르게 친밀해 질 수 있습니다.
신랑 신부의 어린시절이야기나 에피소드는 분위기를 푸는데 좋은 소재입니다.
주의해야할 점
개인적인 질문: 상대방의 사생활에 대한 지나치게 개인적인 질문은 실례가 될 수 있습니다.
비판적인 발언: 상대방의 가족이나 외모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은 절대 삼가야 합니다.
논쟁: 정치, 종교 등 민감한 주제는 논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